농약과 건강에 대한 보건학적 내용은 기존 농업인 건강 또는 환경보건 영역의 학회에서 주로 다루고 있다. 농업인에 대한 환경과 건강문제를 연구하는 영역을 외국에서는 Agricultural Medicine, Agromedicine, Rural Health, 또는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이들 학회 내에서 농약은 농업인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으로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학술단체로는 국제농촌의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Rural Health(http:// www.iaamrh. org)]가 있으며 3년마다 학술대회(International Congress on Rural Health and Medicine)를 개최한다. 또한 국제산업보건학회(International Congress of Occupational Health) 산하의 농촌건강 분과(Rural Health:Agriculture, Pesticides and Organic Dusts)에서도 농약을 포함한 농업인 건강 관련 활동을 담당한다.
전반적인 농업인 건강과 환경에 대한 주제를 학술적으로 가장 폭넓게 다루는 학회는 캐나다 Saskatchewan에서 4-5년마다 열리는 국제 심포지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학회는 캐나다 University of Saskatchewan의 농촌 안전건강센터가 주관이 되어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등과 함께 진행되는 북미지역 중심의 모임이지만, 다른 어떤 학회보다도 농약 및 농업 관련 분야를 광범위하고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현재까지 6차례의 심포지엄이 이루어졌으며 2014년 10월에 7번째 모임이 개최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 내에서는 North America Agromedicine Consortium와 National Rural Health Association 등의 모임을 통해 농약을 포함한 농업인 건강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학술지로는 농약과 건강의 주제에만 특화된 학술지가 아직 따로 있지는 않으며 대부분 농촌의학 관련 잡지들 속에서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 이들 잡지들로는 Journal of Agromedicine(North American Agromedicine Consortium), Journal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The Journal of Rural Health(National Rural Health Association),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Institute of Agricultural Medicine, Poland), Rural and Remote Health(Deakin University, Australia), Journal of Rural Medicine(The Japanese Association of Rural Medicin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잡지 대부분은 아직 영향력 지수가 낮으며 일부는 자기 나라 결과를 위주로 발표하기도 한다. 따라서 농약과 건강 관련 연구를 실시하였다면 우선적으로는 환경 및 산업보건 또는 보건학이나 역학 잡지를 통해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농약 노출과 특정 질환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면 해당 질환을 다루는 학술지 예를 들어 암, 호흡기, 신경계 학술지 등에 투고하는 것도 좋다.
우리나라에서 농약 또는 농업인 건강과 환경문제를 다루거나 연관된 학회로는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를 비롯하여 직업환경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한국환경보건학회, 환경독성보건학회 등이 있다. 한편 한국농약과학회와 한국환경농학회에서는 비록 보건학적 분야를 직접 다루지는 않지만 농약 자체에 대한 성분과 효과, 잔류 및 노출 등에 대해서 폭넓게 다루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농약 관련 학술서적은 Hayes’ Handbook of Pesticide Toxicology (Krieger R, Academic Press, 2010)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농약의 독성학에서 관리 제도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보고된 농약 관련 내용을 가장 광범위하게 정리하였다. 그러나 농약의 급성 중독에 대해서는 자세히 기술한 반면 만성 건강영향을 살펴보는 역학적 내용은 부족하다.
그리고 Pretty J의 The Pesticide Detox(Earthscan, 2005)은 농약 사용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과 병해충종합관리에 대해 다양한 사례와 깊이 있는 분석을 제공한다. 또한 Human Health Effects of Pesticides라는 제목으로 Occupational Medicine:State of the Art Reviews 1997년도에 특집으로 보고된 내용도 농약과 건강에 대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한편 보건학적 서적은 아니지만 Encylopedia of Pest Management(Pimentel D, CRC Press, 2002)는 농약 전반에 대한 용어 및 개념을 폭넓게 설명하고 있으며, Marrs TC와 Ballantyne B의 Pesticide Toxicology and International Regulation(John Wiley & Sons, 2004) 그리고 Matthews G의 Pesticides:Health, Safety and the Environment(Blackwell Publishing, 2006) 등도 농약 관련 참고서적들이다. 그 외 농약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농업인 건강 관련 전문서적들로서 Lessenger JE의 Agricultural Medicine:A Practical Guide (Springer, 2006)와 Donham KJ와 Thelin A의 Agricultural Medicine: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for the Health Professions(Blackwell Publishing, 2006)이 있다.
한편 일반 서적들도 전문 학술 서적 못지않게 다양한 시각에서 농약 관련 내용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저자에 따라 다소 편향적 입장을 보이는 경우들도 있지만 환경과 건강이라는 큰 주제 속에 농약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들을 폭넓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책자들 중 국내에 번역된 것으로는 《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저, 에코리브르, 2002), 《도둑맞은 미래》(테오 콜본 외 저, 사이언스북스, 1997), 《회의적 환경주의자》(비외른 롬보르 저, 에코리브르, 2003), 《내추럴리 데인저러스》(제임스 콜만 저, 다산초당, 2008), 《몬산토》(마리 모니크 로뱅 저, 이레, 2009) 등이 있다. 이 책들은 수많은 논문과 객관적 참고 자료를 근거로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농약을 포함한 환경보건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다.
웹을 통해서도 농약 관련 정보들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참고할 수 있는 주요 사이트들은 다음과 같다.
농약과 건강(http://pesticides.kr):이 책의 내용 및 이 책에서 포함시키지 못한 농약에 대한 최신 보건학적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농촌진흥청 농약관리시스템(http://epmso.rda.go.kr):국내 농작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등록 관련 내용 및 품목별 등록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농약 중독연구소(http://www.schmc.ac.kr/cheonan/honglab/index.do):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의 부설연구소로서 농약 중독에 대한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한다.
한국작물보호협회(http://www.koreacpa.org) : 농약 생산자 단체로서 국내에서 유통 중인 농약에 대한 사용지침서 및 병해충/잡초에 대한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Agricultural Health Study(http://www.aghealth.org) : 미국에서 진행되는 국제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농약과 건강 코호트 연구로서 연구의 진행 상황과 결과 그리고 최근 정보등을 제공한다.
California Department of Pesticide Regulation(http://www.cdpr.ca.gov) :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농약 담당부서로서 농약 등록, 인체 독성, 작업자 건강 및 안전, 농약 법률, 환경 중 모니터링 등의 내용들이 있다.
Compendium of Pesticide Common Names(http://www.alanwood.net/ pesticides/index.html):1,700개 이상의 농약 유효성분에 대해서 일반명, 화학명, 기능 및 화학적 분류, 분자식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IPCS Pesticide Data Sheets(http://www.inchem.org/pages/pds.html) : WHO와 FAO가 공동으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각 농약 물질에 대한 기본적인 독성 및 안전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National Pesticide Information Center(http://npic.orst.edu/index.html) : 미국 환경보호국과 오리건 대학교가 운영하는 센터로서 농약에 의한 건강영향 및 안전사용, 해충 관리, 농약 성분 및 독성, 농약규제 및 관리, 환경 중 농약 노출, 농약 중독시 신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esticide Action Network(http://www.panna.org) : 농약으로 인한 건강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비정부기구로서 농약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PAN Pesticide Database(http://www.pesticideinfo. org)는 PAN North America에서 관리하는 농약 데이터베이스로서 농약 유효성분별 독성 및 중독 시 증상, 제품명 검색정보 등을 제공한다.
U.S. EPA Pesticides(http://www.epa.gov/pesticides/index.htm) : 미국 환경보호국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이트로서 농약 등록 및 유통 관련 프로그램, 농약 관련 법률 및 규제, 농약의 일반적인 사항, 농약의 안전사용, 건강 및 환경적 영향, 해충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